서론
용어, 게임 시스템, 사이트 및 써드 파티 등 참고하면 좋은 것들, 검색하면 나오는 내용들을 묶어보았다.
오탈자가 많을 수 있으며 순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유의하자.
새로운 빌드나 게임 시스템의 변경이 있을 경우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용어
리그 및 모드
스탠 : Standard / 스탠다드, 리그 종료 후 캐릭터들은 모두 스탠다드로 이동
소코 : softcore / 소프트 코어, 거래 가능 리그, 신규 리그는 일반적으로 소코를 말하는 것
하코 : Hardcore / 하드코어, 사망 시 스탠행
SSF : Solo Self Found / 스스프, 거래 불가 리그
SSFHC : Solo Self Found Hardcore / 스스프 하코
빌드
메인 스킬 젬
- ED : Essence Drain / 정수 흡수
- EA : Explosive Arrow / 폭발 화살
- EAB : Explosive Arrow + Ballista Totem Support / 폭발 화살 토템 빌드
- BA : Burning Aroow / 불타는 화살
- RF : Righteous Fire / 정의의 화염
- 플리커 : Flicker Strike / 점멸 타격
- 냉플 : Ice + Flicker Strike / 냉기 피해 중심의 점멸 타격 빌드, etc 물플
- 블볼 : BV / Blade Vortex / 칼날 소용돌이
- 냉블볼 : Ice + Blade Vortex / 냉기 피해 중심의 칼날 소용돌이 빌드 etc 화블볼, 독블볼
- 프블 : FB / Frost Blades / 서리 칼날
- 독플 : Poisonous Concoction / 독성 혼합물
- 번타 : LS / Lightning Strike / 번개 타격
- 사클 : Cyclone / 회오리 바람
- 시소 : Cremation / 시체 소각
- 시불 : Volatile Dead / 시체 불덩이 / VD
- 시폭 : Detonate Dead / 시체 폭발 / DD / 스킬, 속성, 빌드로서 많이 불리지만 시체 폭발 스킬을 사용하는 몬스터에게도 통용
- 윈옵 : Winter Orb / 겨울 보주
- 지방덫 : Seismic Trap + Exsanguinate / 지진 덫 + 방혈 덫 빌드, 물리 피해 중심의 덫을 사용하는 사보추어 빌드, 싸지방
- 헥블지 : Hexblast + Mine / 사술 폭발 + 지뢰 빌드, 몬스터의 저주를 폭발시켜 강력한 피해를 주는 사보추어 빌드, 성소 특화
- 종낙 시소 : Armageddon Brand + Cremation / 종말의 낙인 + 시체 소각, 액트 깡패, 액트 마무리 후 빌드 전환
- 토샷 : Tornado Shot / 회오리 사격
- GC : Glacial Cascade / 빙하 폭포
- OOS : Orb Of Strom / 폭풍 보주
- SRS : Summon Raging Spirit / 격노의 유령 소환
- ST : Spectral Throw / 환영 무기 투척
- SST : Spectral Shild Throw / 환영 방패 투척
- TR : Toxic Rain / 맹독성 비 / 톡식
- CA : Caustic Arrow / 부식성 화살
- WOC : Wav Of Conviction / 신념의 파도
- EK : Ethereal Knives / 천상의 단도
- KB : Kinetic Blast / 역학폭발 / 키네틱
- ARC : 연쇄 번개 / 아크
- 임콜 : Immortal Call / 불멸의 외침
- 엘힛 : Elemental Hit / 원소의 일격
- 베인 : Bane / 파멸
- 베라지 : Barrage / 연발 사격 / 연발 사격 보조
- 냥냥 : Soulrend / 냥냥렌드 / 고양이 스킨을 착용한 소울렌드 빌드를 '냥냥'이라고 부른다.
- 블플 : BF / Blade Flurry / 질풍의 칼날
- WB : Whirling Blades / 칼날 선회
- 용방 : Molten Shell / 용암 방패
- 디코이 : Decoy Totem / 미끼 토템
- 라세 : Lacerate / 피부 찢기
- 라샷 : LA / Lightning Arrow / 번개 화살 / 번화
- 아샷 : IS / Ice Shot / 얼음 화살
- MABA : Mirror Arrow + Blink Arrow / 화살이 붙어서 투사체 빌드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놀랍게도 소환수 빌드, 변성 스킬 젬 필수
- 대쉬 : Dash / 질주
- 와스 : WS / Wild Strike / 사나운 타격
- 덥스 : Duble Strike / 이중 타격
- 칼폭 : BB / Blade Blast / 칼날 폭격
- 홀플토 : Holy Flame Totem / 신성한 화염 토템, 아주 옛날에 신화토라고 부르는 사람도 봄
보조 스킬 젬
- CWDT : Cast When Damage Taken / 피격시 시전 보조
- CWC : Cast When Channerling / 집중 유지 시 시전 보조
- CWCWDT : CWC + CWDT / 시전 보조를 활용한 자동 스킬 사용 유형의 빌드
- COC : Cast On Critical Strike / 치명타 시 시전 보조
- GMP : Greater Multiple Projectiles Support / 상위 다중 투사체 보조, 상다투
- 각상다 : Awakened Greater Multiple Projectiles Support / 각성한 상위 다중 투사체 보조
- 각연타 : Awakened Multistrike Support / 각성한 연속타격 보조
- 방상 : 포티파이 / Fortify / 방어 상승 보조
- 마격 : 컬링 / Culling Strike / 마무리 타격 보조 / 장갑 속성 중 하나
- 마임 : Maim / 힘줄 절단 보조
핵심 노드
- EE : Elemental Equilibrium / 원소 균형
- EO : Elemental Overload / 원소 과부하
- CI : Chaos Inoculation / 카오스 면역
- MOM : Mind Over Matter / 물질보다 정신
- EB : Eldritch Battery / 섬뜩한 충전기
- RT : Resolute Technique / 확고한 기술
- 바팩 : Vaal Pact / 바알의 계약
- 고댄 : Ghost Dance / 혼의 춤, 이전에는 트릭스터의 전직 노드였지만 빼앗기고 모든 클래스가 활용 가능한 핵심노드 행
- MI : Minion Instabiilty / 소환수 불안정
빌드
- POB : Path Of Building / 빌드를 확인하거나 구상할 때 사용, 어찌보면 이 게임의 핵심인 외부 프로그램
- 빌드 : 패시브 스킬, 아이템 등의 세팅이 구성된 것, POB로 확인, 스킬-클래스 명으로 빌드 확인(Archmage Hierophant, Spark Inquisitor)
- 스타터 빌드 : 리그 시작 후 맨몸으로 진행이 가능한 빌드, 엔드 콘텐츠까지 진행이 가능한 빌드도 있지만 대부분 말 그대로 '스타트용' 빌드
- LL : Low Life / 로랖 / 고통의 조율 노드 효과를 위해 생명력 점유를 활용한 강제적으로 낮은 생명력 상태를 유지하는 것
- CI LL ES : CI(카오스 면역) + LL(로우 라이프, 고통의 조율) + ES(에너지 보호막) 빌드
- Aurabot : Aura / 오라봇
- 힙스터 : 자신만의 빌드라고 말하지만 현실은 똥빌드, 빌드 운용을 위해 수백딥을 박아야 겨우 돌아가는 빌드를 플레이하는 유저
- 셀캐 : Self Casting / 직접 시전, 발동용 보조 스킬 젬(CWC, CWDT 등)을 활용하지 않는 직접 시전하는 빌드를 의미
화폐
- 카옵 : Chaos Orb / 카오스 / 카오스 오브, 기본 화폐
- 딮 : Divine Orb / 디바인 / 신성한 오브, 기본 화폐
- 엑잘 : Exalted Orb / 엑잘티드 오브, 변경 전 기본 화폐, 현재는 신성한 오브인 디바인 오브가 기본 화폐가 되었다.
- 알케 : Orb of Alchemy / 연금술의 오브
- 알터 : Orb of Alteration / 변화의 오브
- 미러 : Mirror of Kalandra / 칼란드라의 거울, 기본 화폐, 가장 가치가 높은 커런시
- 샤드 : Mirror Shard / 거울 파편, 20개를 모으면 칼란드라의 거울이 된다.
- 어눌 : Orb of Annulment / 소멸의 오브
- 리갈 : Regal Orb / 제왕의 오브
- 찬스 : Orb of Chance / 기회의 오브, 찬스질
- 치셀 : Cartographer's Chisel / 지도제작자의 끌
- 퓨징 : Orb of Fusing / 연결의 오브
채팅
- TY : Thank you / TY2 : Thacnk you Too / THX : Thank you / TYVM : Thank You Very Much
- GL : Good Luck
- HF : Have Fun
- IDK : I Don't Konw
- SRY : Sorry
- WTB : Want To Buy
- WTS : Want To Sell
- WTT : Want To Trade
- H/O : HideOut / 은신처
- NP : No Problem
- NVM : Never Mind
- Offer : 흥정, 제시
- TFT : Thank You For Trade / T4T의 경우도 같은 말이지만 유럽 유저들이 많이 사용했던 기억이 있다.
- SS : Stay Safe / 하드코어 유저들의 인사말
- SEC : Second / 잠시
- JAM : Just A Moment
- LOL : Laugh Out Loud
- :D : XD, ㅎㅎ, ㅋㅋ
거래
- TFT : 디스코드 해외 채널, 아이템의 대량 거래가 핵심, 다양한 콘텐츠 관련 서비스, 사용법을 숙지 시 편리한 게임 플레이 가능
- 5-WAY RUN : 5군단 버스
- 5군단 버스 : 영원한 분쟁의 땅 5회 당 2-3딥 가량의 비용을 지불하고 경험치를 획득하는 서비스, 승객으로서의 에티켓 숙지 필수
- Chiller : 영원한 분쟁의 땅 입장 후 잠수
- Resetter : 영원한 분쟁의 땅이 시작 한 후 지속적으로 몬스터를 소환하기 위해 중앙의 오브젝트에 머무는 것, 벨보이
- INV : Invite / 저쪽에서 초대, 또는 내가 초대
- U : You
- RDY : Ready
- RF : REF / Reforge / 재련
- RR : Reroll / 신성한 오브를 사용해서 수치 재설정 or 장비 제작, 재련 시스템을 다시 시도할 때 사용했던 말
- PRE : PREF / Prefix / 접두
- SUF : SUFF / Suffix / 접미
- Collat : Collateral For Item / 담보
- CF : CONF / Confirm / 확인
- LAB : Labyrinth / 미궁 / 전직 시험을 위해 미궁을 도는 중이란 의미로 말이 사용했던 말
- SIM : SIMUL / Simulacrum / 복제된 영토
- SD : Stacked Deck / 카드 묶음
- 벌크 : 대량 구매 및 대량 판매의 방법이나 그 통칭
- 카묶 : 카드 묶음
- 통판 : 빌드의 장비들을 모두 일괄 판매 하는 것
인게임
- 카레 : 카오스 레시피, 리그 시작 후 극 초반 밴더 레시피를 활용한 카오스 오브를 확보하는 행동, 하드코어 리그의 좋은 전략
- 야딮 : 거래 및 특정 콘텐츠 보상이 아닌 액트와 맵핑에서 몬스터로부터 직접 획득한 신성한 오브
- 야엑 : 야딮의 엑잘티드 오브 버전
- 덥커 : Double Corrupt / 이중 타락 / 앗조아틀 사원의 타락의 현장의 오브젝트를 사용해서 장비의 2회 타락을 하는 것, 파괴 조심
- 런 : 특정 콘텐츠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의미, 콘텐츠 뒤에 런을 붙이는 경우가 많음, 매복 의식 런, 수확 런, 보스 런 등
- 라비런 : 아이템에 미궁 인챈트를 부여하는 작업, 현재는 삭제되고 변성 스킬 젬 획득을 위한 미궁 런을 의미
- 알케런 : 지도에 연금술의 오브만을 사용해서 희귀 등급으로 만든 지도를 진행하는 것
- 16티 8모드 : 16등급 지도에 부여 가능한 속성의 최대 개수인 8개를 만든 후 지도를 진행하는 것
- 4돌 : 공허석 4개를 의미
- 가디언 : 엘더(박멸자, 위압자, 정화자, 조종자) 및 쉐이퍼(미노, 피닉스, 히드라, 키메라) 수호자
아이템
- 헤헌 : 헤드헌터
- 마피 : 마법사의 피
- 다잉썬 : 죽어가는 해
- 병믿 : 보틀 / Bottled Faith / 병에 담긴 믿음
- SOS : Sire of Shards / 파편의 영주
- 호와 : HOWA / Hand of Wisdom and Action / 지혜와 행동의 손아귀
- 트레모 : Tremor Rod / 전율의 막대
- 슈라우드 : The Eternity Shroud / 영원의 연막
- 보배 : VB / Void Battery / 공허충전기
- 보플 : Voidfletcher / 공허화살깃
- 냥갑 : Farrul's Fur / 페룰의 모피
- 퀼레인 : Quill Rain / 화살 비
시스템
- 마임 : Maim / 힘줄 절단 상태 이상
- 맥옵 : 아이템의 속성 수치가 최상인 것을 의미
- 바르다 : 던지다 / 커런시를 아이템에 사용하는 행위
- 슬램 : 위의 바르다, 던지다와 비슷하지만 속성이 비어있는 아이템에 엑잘, 장막의 오브와 같은 옵션을 얻기 위한 커런시 사용의 의미
- 퀄 : Quality / 퀄리티, 스킬 젬의 퀄리티를 기본적으로 의미하며 플라스크, 장비에도 활용된다.
- MF : Magic Find / 매찬, 현재는 몬스터의 기본 아이템 수량이 증가되었지만 MF 관련 아이템들이 삭제되어 유명무실한 상태
- 퀀티 : Quantity / 아이템 수량
- 시속 : Cast Speed / 시전 속도
- 어빌 : Ability / 능력치, 힘, 민첩, 지능을 기본적으로 의미
- 치피배 : Critical Damage Multiplier / 치명타 피해 배율
- 치확 : Critical Chance / 치명타 확률
- 플랫 : Flat damage / 기본 피해, (기본 피해+기본 피해)x(피해 증가+피해 증가)x(피해 증폭x피해 증폭)
- 인크 : Increased Damage / 피해 증가
- 모어 : More Damage / 피해 증폭
명령어 및 단축키
- /help : 명령어 모음
- /played : /플레이시간, 플레이시간 확인
- /kills : /처치, 몬스터 처치 수
- /deaths : /사망, 사망 횟수
- /whois [캐릭터명] : /누구 [캐릭터명], 캐릭터 위치 및 레벨
- /ignore [캐릭터명] : /차단 [캐릭터명], 특정 유저 차단
- /unignore [캐릭터명] : /차단해제 [캐릭터명], 특정 유저 차단 해제
- /clear_ignore_list : /차단초기화, 차단 목록 초기화
- /passives : /패시브, 패시브 포인트 확인
- /autoreply [메시지내용] : /자동응답 [메시지내용], 귓속말 응답 메시지 설정
- /afk [메시지내용] : /자리비움 [메시지내용], 자리비움 설정
- /dnd [메시지내용] : /방해금지 [메시지내용], 방해금지 모드 설정
- /hideout : /은신처, 은신처로 이동
- /kingsmarch : /킹스마치, 킹스마치로 이동
- 아이템 한묶음 넣기 : 컨트롤 + 좌클릭
- 아이템 한종류 다 넣기 : 컨트롤 + 우클릭
- 아이템 나누기 : 쉬프트 + 좌클릭
- 포탈 열기 : 설정에서 할당
게임 시스템
- 액트 : 2장 10액으로 구성
- 스킬포인트 : 패시브 스킬 1 포인트, 기본적으로 레벨업을 통해 획득, 퀘스트 보상, 액트 마무리 후 진행해도 무관
- 전직 시험 : 전직을 위해서는 3장의 미궁에 도전해야 하며 이를 위한 전직 시험이 존재
1장 1액~3액 6개, 2장 6액~7액 3개, 2장 8액~10액 3개로 이루어져 있다.
액트에서 3차 미궁까지 진행, 4차는 지도에서 전직 시험을 찾은 후 완료 보상으로 획득한 공물을 통해 도전.
- 미궁 : 3액 마을 중앙에서 활성화, 거점 포탈을 통해 자유롭게 진입 가능
반드시 전직 시험을 완료해야 미궁 도전이 가능하다.
미궁의 길은 아침 9시에 초기화되기 때문에 해당 사이트에서 참고해서 진행하는 것을 권장
- 능력치 : 힘, 민첩, 지능, 패시브 노드 및 아이템을 통해서 확보 가능, 보통은 장신구에서 많이 챙기게 된다.
기존에는 아이템 착용 제한을 맞추기 위한 용도에 그쳤지면 현대의 POE에서는 능력치 스태킹 빌드에서 활용된다.
· 힘 : 근접 물리 피해, 생명력 증가
· 민첩 : 정확도, 회피 증가
· 지능 : 마나, 에너지 보호막 증가
- 스킬 젬 : 액티브 스킬 젬 / 보조 스킬 젬으로 나뉘어지는 게임의 핵심적인 구성요소
액티브 스킬 젬을 보조 스킬 젬이 강화시키는 형태
장비의 홈에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 아이템의 종류에 따라 1~6개의 홈을 가질 수 있으며 최대 6개까지 연결이 가능
· 3개 : 한손 무기, 방패, 화살통(1~3개, 특수)
· 4개 : 투구, 장화, 장갑
· 6개 : 양손 무기, 활, 갑옷, 한손 무기(특수)
보조 스킬 젬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액티브 스킬을 보조
1개의 액티브에 최대 5개의 보조 스킬 젬이 연결, 2개의 액티브에는 4개의 보조 스킬 젬의 효과만이 활성화
특별한 빌드가 아니라면 1개의 스킬 젬에 다수의 보조 스킬 젬을 연결하는 것이 강력하다.
- 패시브 노드 : 레벨업을 통해 획득 가능한 포인트, POE의 핵심 시스템
스킬을 포인트가 아닌 젬으로 활성화하기 때문에 레벨업의 보상으로 얻게 되는 포인트는 패시브 노드에 투자하는 형태
매우 다양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노드 선택 순서에 따라 같은 스킬 젬을 사용하더라도 확연하게 차이를 보인다.
패시브 노드는 커런시의 한 종류인 후회의 오브로 되돌릴 수 있다.
처음부터 자신만의 빌드를 구상한다면 어렵지만 우선은 다른 유저들이 닦아놓은 길을 따라간 후에 생각을 해보자.
- 전직 / 클래스 : 각 직업마다 3개의 전직 클래스가 존재, 사이온은 1개이지만 다른 전직 클래스의 능력을 활용한다.
첫번째 미궁에서 전직 클래스를 결정한 후 전직 노드를 선택하고 이후 3개의 전직에서는 포인트 2개를 획득, 총 8개
미궁은 4차 전직까지 가능하며 5차 전직은 금단의 화염을 통해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패시브 노드와 마찬가지로 전직 노드 역시 5개의 후회의 오브로 되돌릴 수 있다.
클래스 변경이 가능하며 미궁 완료 후 보상의 방에서 모든 전직 노드를 되돌린 후에 가능하다.
- 화폐
골드 개념이 아닌 커런시를 통한 상대와의 물물 교환이 기본적인 거래 방법.
기축 통화는 소액 단위의 '카오스 오브(카옵)', 고액 단위의 '신성한 오브(딥)'가 기본적으로 활용
다른 커런시들의 경우 제작, 콘텐츠 활용 등에 사용되지만 거래에는 활용되지 않으며 카옵과 딥으로 환전하는 편.
- 화폐 교환
커런시의 경우 이제 인게임 재무관 파우스투스를 통해 화폐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쉽게 대량으로 판매가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교환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품목들에 대해서는 TFT를 통해 대량으로 교환하는 것을 권장
- 아틀라스 패시브 노드
패시브 노드의 아틀라스 형태, 지도에서 콘텐츠를 제외하거나 콘텐츠의 등장 확률 및 효과 강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야수라면 붉은색 야수만 등장하게 하거나 신성한 숲에서 등장하는 작물의 등급을 올리거나 등의 역할을 하는 것
주력 콘텐츠를 강화하고 맵핑 과정에서 수익을 내거나 제작에 필요한 아이템을 획득 방향성을 정할 수 있는 것.
패시브 노드와 달리 후회의 오브가 아닌 취소의 오브로 아틀라스 패시브 노드를 되돌릴 수 있다.
취소의 오브는 키락을 통해 후회의 오브 2개로 구매하거나 대량으로 구매하는 것을 권장
프리셋이 3개 주어지기 때문에 각자의 플레이 스타일 콘텐츠 진행에 대한 호불호에 따라 3개 세팅 후 진행
- 아틀라스
액트 마무리 후 키락을 통해 간단한 퀘스트 진행 후 지도 장치를 은신처로 옮기면 본격적으로 게임 시작.
맵핑 : 지도 장치에 지도를 넣은 후 해당 지역의 몬스터와 고유 보스를 처치하는 행위
등급 : 최대 16개, 등급에 따라 해당 지도의 지역 레벨이 정해지며 최대 83레벨까지 올라간다.
17등급 : 16등급 지도에서 획득 가능한 특수한 지도, 지역 레벨 84레벨
지역 레벨이 곧 몬스터의 레벨이 되기 때문에 드랍하는 아이템들의 레벨 또한 지역 레벨에 영향을 받는다.
고유 보스는 액트 진행 과정에서 만난 몬스터를 포함해서 아틀라스 지도에서만 볼 수 있는 몬스터들로 구성된다.
부가 목표 : 특정 조건을 만족한 후 해당 지도의 고유 보스를 처치하게 되면 고유 목표를 완료하게 된다.
흰맵 : 1-5등급, 마법 등급의 지도 고유 보스 처치
노란맵 : 6-10등급, 희귀 등급 지도의 고유 보스 처치
빨간맵 : 11-16등급, 희귀 등급 타락된 지도의 고유 보스 처치
레이아웃 : 맵핑을 돌기 좋은 환경을 의미, 해당 지역에 장애물, 언덕이 없고 일자로 편하게 달릴 수 있는 지형
- 부가 목표 뚫기
맵핑 과정에서 아틀라스 패시브가 중요한 만큼 빠르게 부가 목표를 뚫고 포인트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주요 목적
이 과정에서 완료하지 않는 지도를 빠르게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
· 키락이 판매하는 지도 목록 확인, 하나씩 구매하면서 진행, 키락 임무를 완료하면 판매 목록이 갱신되는 것을 활용
· 최대한 키락을 활용한 후에도 완료하지 못한 지도의 경우 경매장을 통해서 구매하여 부가목표를 채우자.
· 지평의 오브를 사용하면 대상 지도를 다른 지도로 변경이 가능하다
· 키락의 정찰 보고서를 활용해서 키락이 제시하는 임무의 지도 목록을 변경할 수 있다.
- 지도 장치 해금
지도 장치의 칸은 기본적으로 4개이지만 최대 6개까지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 메이븐의 초대 완료 : 메이븐 처치 과정에서 해금
· 17등급 지도 완료 : 해당 지도의 고유 보스 처치, 직접 진행이 불가능하다면 서비스를 받도록 해보자
- 엔드 보스 : 작열의 총주교, 세계 포식자, 메이븐, 우버 엘더
- 공허석 : 엔드 보스를 처치하면 획득하게 되는 아이템, 아틀라스 지도 업글, 17등급 지도 획득율 증가 등의 효과, 우선적인 목표
- 17등급 : 16등급 지도 진행 시 획득할 수 있는 상위 지도, 엔드 보스와 우버 보스의 중간 다리 역할
- 우버 보스 : 엔드 보스보다 더욱 강력한 난이도, 엔드 보스 4종 + 베나리우스, 사이러스, 쉐이퍼
- 데미지 : 공격과 주문 스킬로 나누며 물리, 원소, 카오스 속성이 존재, 원소에는 다시 화염, 냉기, 번개로 나뉜다.
이 외에도 투사체, 근접, 타격, 저주 등의 태그가 붙게 되어 다양한 빌드가 구상된다.
- 저항 : 화염, 냉기, 번개, 카오스 저항
아이템 및 노드에서 말하는 '모든 저항'에는 카오스 저항이 포함되지 않는다.
액트 진행 과정에서 1장에서 키타산 처치 후 -30% 패널티를 받으며 2장 키타산 처치 후 한번 더 -30%의 저항이 깎이게 된다.
액트 6 진입 직후 캐릭터가 너무 쉽게 죽는 이유, 아틀라스 지도 진입 후 너무 쉽게 죽는다고 생각되면 반드시 저항을 확인할 것.
- 방어기제
특별한 빌드(RF)를 제외한 일반적인 빌드의 경우 일단 죽지 않기 위한 방어기제들을 챙기는 것이 핵심
· 저항 : 3원소 저항 75%는 기본, 지도를 진행하면서 카오스 저항을 챙기는 것 또한 중요해졌다.
· 생명력 : 방어기제가 감소시킬 수 있는 값보다 더 높은 데미지가 들어올 경우 낮은 생명력은 한번에 죽음, 최소 4000을 확보
· 방어도 : 물리 피해 감소, 약한 피해 - 높은 데미지 감소 / 강한 피해 - 낮은 데미지 감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용암방패 활용
· 회피 : 공격을 일정 확률로 회피, 완전 회피가 가능하지만 확률이 뚫리면 사망, 생명력을 최대한 확보 할 것
· 주문 피해 억제 확률 : 주문 피해량 감소, 감소되는 피해량은 일반적으로 50%, 점화 및 독과 같은 질병에도 적용
· 저주 : 피해 증가를 위한 활용도 가능하지만 생존용으로도 활용되기도 함
· 막기 : 방패 착용 필수, 1차적으로 공격과 주문의 피해량을 완화시키고 2차 피해는 완전히 막아낸다.
공격 막기 확률 : 공격을 완전히 막아낼 확률
주문 막기 확률 : 주문을 완전히 막아낼 확률
· 원소 상태이상 회피 : 3원소 피해와 관련되어 있는 상태이상 효과들을 회피하는 것, 주문 피해 억제 확률로 대체된 느낌
화염 : 점화(지속), 그을림(화염 저항 감소)
냉기 : 냉각(둔화), 동결(결빙), 허약(치명타 맞을 확률 증가)
번개 : 감전(피해 증가), 활력 감소(플레이어가 주는 피해 감소)
- 공격 기제
스킬 젬에 추가되는 레벨, 빌드의 핵심 고유 장비, 플랫 데미지의 추가 등 다양하면서도 쉽게 챙길 수 있다.
빌드의 피해 종류에 따라 원소라면 몬스터의 저항값을 감소시키는 것이 적절할 것.
반대로 물리 피해라면 적의 방어도와 타격을 회피할 수 있는 회피 감소 등이 적절하다.
· 증가 : Increased, 증가끼리 합연산
· 증폭 : More Damage, 증폭끼리 합연산(화염 피해 증폭과 일반 피해 증폭은 서로 다르지만 합연산)
· 증가와 증폭은 곱연산, 일반적으로 증폭이 동인한 증가보다 효과가 배는 좋다, 증폭은 증가보다 확보가 어렵기 때문
· 적이 받는 피해는 데미지 계산이 아닌 적에게 적용되는 기제, 항상 마지막에 적용, 곱연산
· 데미지 계산은 선, 면, 부피와 같으며 각각의 피해 기제는 선으로 표현된다.
· 증가 : 선이 길어지는 것
· 증폭 : xy평면으로 확장, 면적을 가진 면으로 변화
· 면의 면적을 넓히는 것은 정사각형
데미지 계산은 선, 면, 부피와 같으며 각각의 피해 기제는 선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증가는 선이 길어지는 것, 증폭은 xy평면으로 확장되며 면적을 가진 면으로 변화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음.
2x8보다 5x5의 면적이 더 넓은 것처럼 증폭과 증가는 동일할 때 가장 딜 상승폭이 크다.
증폭을 챙기는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증가보다 증폭을 더 우선시 하라는 것.
적이 받는 피해 증가는 z축으로 표현, 받는 피해를 챙기게 되면 3차원의 부피로 확장되는 것
그러나 증폭보다 적이 받는 피해 속성을 챙기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가능하면 챙기는 것이 좋다.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확률+#% : 베이스 치명타 5% + 아이템 속성 치명타 확률 100% 증가 = (5*(1+100/100))% = 10%
· 치명타 확률 #% 증가 : 베이스 치명타 5% + 2% = 7%
치명타 확률+#%를 최대한 챙길수록 효과가 증가
합연산과 곱연산을 생각하면 정사각형의 면적이 더 넓은것 처럼 균형있게 챙기는 것이 효과적(2*4 < 3*3)
일반적으로 +#% 효과를 챙기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베이스에서 치명타 확률을 챙기는것이 좋다.
- 판테온 : 2장 6액부터 등장하는 신, 이들을 처치하면 특수한 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 단축키는 Y
· 주요 신 : 액트 보스, 4종류, 1개 선택
· 보조 신 : 액트 중간 보스, 8종류, 1개 선택, 처치 후 퀘스트 보상을 통해 스킬 포인트 책 획득 가능
· 성스러운 시험관 : 판테온 업그레이드를 위한 아이템, 판테온의 추가 효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아이템
강화하고자 하는 효과에는 처치해야 하는 고유 보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도 검색이나 poedb를 통해 확인
성스러운 시험관과 대상 지도를 지도 장치에 넣어서 진행
고유 보스를 처치하고 지도 장치를 살펴보면 영혼이 담긴 시험관을 획득 할 수 있다.
원래는 액트 6장~10장에 있는 npc 씬에게 가져가야 했지만 현재 우클릭으로 적용이 가능.(정리하면서 이제 앎)
기존에 판테온 강화 역시 캐릭터 귀속이었지만 이제는 계정 귀속으로 변경되어 다시 얻을 필요는 없게 되었다.
사이트 및 써드파티
- 피오이지 : KR, GRINDING.ZONE의 한국 버전, 한국 유저를 위한 사이트와 써드 파티 링크를 제공
- poedb : EN, 한국어 번역 제공, 가장 많이 찾게 되는 사이트, 일단 기본적인 모든 정보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 패스오브엑자일 위키 : EN, db에서 검색해서 영문명을 알아낸 후 여기에서 검색, db의 세부 버전, 메커니즘 확인용도
- poe.ninja : EN, 리그의 아이템 시세 확인, 빌드 통계 검색용 사이트, 새로운 빌드를 찾거나 아틀라스 패시브를 확인할 때 활용
- pob archives : EN, 다양한 모든 빌드들의 정보를 저장해둔 창고 같은 빌드 사이트,
- MaxRoll : EN, 유튜브에서 본 빌드의 세부 가이드를 살펴볼 수 있음, 가이드 제작자의 숫자는 많지 않지만 빌드의 성능은 준수함.
- Pohx : EN, RF 장인 Pohx의 RF 가이드 사이트, 진짜 하고 싶은 빌드가 없을 때 참고.
- Path of Building : EN, POB 다운로드 사이트
- Pobb.in : EN, POB 코드 기반으로 빌드의 간략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빌드를 만드는 빌더들이 더 많이 활용, 자주 보게 될 사이트
- Craft of Exile : EN, 제작 시뮬레이터 사이트, 게임에 적응해가면서 장비 제작을 생각하게 되면 자주 방문하게 되는 사이트
- POE Lab : EN, 미궁 루트 제공, 매일 길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오전 9시에서 10시 사이에 업데이트, 이 점을 확인할 것.
- Vorici : EN, 필요한 홈의 색상을 얻기 위해 필요한 색채의 오브 갯수를 계산해주는 사이트, 오프 컬러 작업 방향성 확인용도
- 갑충석 시세표 : KR, 지속적으로 유지될지는 모름, 갑충석 시세 참고용, 검색 링크 제공
- PoE Atlas : EN, 아틀라스 패시브 선택 시 참고용, 초보들이 참고하면 괜찮음
- POE VAULT : EN, Maxroll과 유사한 사이트, 조금 더 오래 만들어졌다.
참고
- 패스 오브 엑자일 갤러리 : POE 기초 뉴비 가이드
- 패스 오브 엑자일 갤러리 : [기타팁] 영어 줄임말 사전
- 패스 오브 엑자일 : 기본 가이드 목록(24.03.15)